수출지원사업
지원사업 홍보관FTA 활용지원 사업 현황
사업목적
경기도내 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FTA 전문 상담센터 운영, 지역방문 교육 및 설명회 실시, 1:1 컨설팅 지원 등
※ FTA 협정별 상이한 기준과 적용방법 등 복잡한 체계(관세, 원산지 등)
지원대상
- 지원대상 : 경기도내 소재 (본사, 공장) 중소기업
- 지원규모 : 6,200개사
지원내용
- FTA 1:1 기업맞춤형 컨설팅
- 전문가(관세사, 원산지관리사)가 기업을 직접 방문하여 FTA 활용 컨설팅 진행
- FTA법령 및 협정, 관세정보, HS품목분류, FTA 서류작성 지원
- 업체별 인증수출자, 품목별 인증수출자 인증취득지원
- 컨설팅 종료 후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FTA 교육 정보 제공
- FTA 활용 지역순회 교육 및 설명회
- FTA활용 실무, 수출입통관, 관세환급, 사후검증 실무, 무역실무, 원산지관리사, FTA 전산시스템 등
- FTA 해외시장 진출 설명회, CEO대상 FTA 설명회 등
- 원산지확인서 사전확인 지원
- FTA 활용 관련 교육
- FTA 체결 해외시장 비즈니스 전문교육, 미래세대 FTA인력 양성사업 등
FTA 종합상담 문의
- 문의일시 : 월~금 09:00~18:00 / 1688-4684
- FTA관련 교육 및 컨설팅 접수 및 지원사업 신청절차 안내 등
- 관세 혜택 내용․절차 상담, 체결국별 원산지 증명, HS품목분류
신청방법
- 신청기간 : 수시
- 신청방법 : 경기지역 FTA활용지원센터 홈페이지(http://www.ggfta.or.kr)에서 온라인 신청
참고.우리나라 FTA 현황
발효(17건) | 서명·타결(3건) | 협상중(7건) * | 협상재개·여건조성(2건) | |
---|---|---|---|---|
칠레(‘04.4.) | 싱가포르(‘06.3.) | ④ RCEP (‘20.11.) |
⑤ MERCOSUR(4개국) (‘20.2. 5차 협상) |
⑥ EAEU(5개국) |
① EFTA(‘06.9.) | ② ASEAN(‘07.6.) | 이스라엘 (‘19.8.) |
한·중·일 (‘19.4. 15차 협상) |
PA(4개국) |
인도(‘10.1.) | ③ EU(‘11.7.) | 인도네시아 (‘20.12.) |
에콰도르 SECA (‘16.11. 5차 협상) |
|
페루(‘11.8.) | 미국(‘12.3.) | 필리핀 (‘20.1. 5차 협상) |
||
터키(‘13.5.) | 호주(‘14.12.) | 말레이시아 (‘19.9. 3차 협상) |
||
캐나다(‘15.1.) | 중국(‘15.12.) | 러시아 (’20.7. 5차 협상) |
||
베트남(‘15.12.) | 뉴질랜드(‘15.12.) | 캄보디아 (‘20.11. 4차 협상) |
||
콜롬비아(‘16.7.) | 중미(‘19.10.) | |||
영국(‘21.1.) |
① EFTA(유럽자유무역연합)(4개국) : 스위스, 노르웨이, 아이슬란드, 리히텐슈타인 ※ 서유럽 국가 중 EU 미 참가국
② ASEAN(10개국) : 말레이시아, 싱가포르, 베트남, 미얀마, 인도네시아, 필리핀, 브루나이, 라오스, 캄보디아, 태국
③ EU(27개국) : 오스트리아, 벨기에, 체코, 키프로스, 덴마크, 에스토니아, 핀란드, 프랑스, 독일, 그리스, 헝가리, 아일랜드, 이탈리아, 라트비아, 리투아니아, 룩셈부르크, 몰타, 네덜란드, 폴란드, 포르투갈, 슬로바키아, 슬로베니아, 스페인, 스웨덴, 불가리아, 루마니아, 크로아티아
* 중미(5) : 파나마(발효예정), 코스타리카, 온두라스, 엘살바도르, 니카라과 (*기타 : 과테말라는 협정발효 후 가입예정)
④ RCEP(15) : ASEAN(10) + 한ㆍ중ㆍ일 + 호주, 뉴질랜드(인도 제외)
⑤ MERCOSUR(남미공동시장)(4) : 브라질, 아르헨티나, 우루과이, 파라과이
⑥ EAEU(유라시아경제연합): 러시아, 카자흐스탄, 벨라루스, 아르메니아, 키르기즈스탄
※ 유럽연합(EU)에 대응하는 러시아가 중심이 된 옛 소련권 국가들의 연합체
문의처 외교통상과 (031-8008-2171) / 경기FTA센터 (031-8064-1397) / 경기북서부FTA센터 (031-995-7484)